728x90

스마트홈 구축기 44

[스마트홈 구축기 14] Home Assistant(HA) 도입 후 현 상황

HA(홈 어시스턴트) 세팅 기기 구입 관련해서는 9월 초에 주문을 하고, 제품 수령은 9월 말에 완료했다. 현재 기기 셋업은 모두 끝났고, 기존에 주력으로 사용하던 스마트싱스를 HA에 연동했다. 이를 위해 HA에 스마트싱스 통합 구성 요소를 설치했다. 그 후, HA에서 다시 애플 홈킷으로 연동하기 위해 홈킷 브릿지 통합 구성 요소를 설치했다. 이로써 스마트싱스에서 관리하던 모든 장치들이 HA와 애플 홈킷에서도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 각 플랫폼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 보다 유연한 스마트홈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아직은 HA 입문 단계이다 보니 지그비 디바이스 연동과 대부분의 자동화는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위주로 돌아가고 있다. HA 활용도는 스마트싱..

[스마트홈 구축기 13] commax(코맥스) 월패드에 브릿지허브(BritzyHub) 설치하기

우리 아파트는 스마트싱스 앱에서 서비스 연결을 통해 홈 IoT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아파트다. 간단한 설정만으로 스마트싱스에 연결하면 월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원격 기능을 그대로 스마트싱스 앱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는 엘리베이터 호출, 각 방 조명 on/off 조절, 각 방 콘센트 on/off 조절, 환기 시스템 on/off 및 강/중/약 조절, 관리비 및 전기/가스/수도 요금 조회, 전등 일괄 on/off 조절 등이 있다. (가스 제어도 기능에 포함되지만, 우리는 사용하지 않는다.) 보일러와 에어컨도 월패드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하지만, 작년부터 스마트싱스 연동에서는 이 기능들이 빠져 있다. 그 이유는 아마도 건설사 서버가 냉난방 기구의 높은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스마트홈 구축기 12] 현재까지 진행 상황과 한계점

1. 이상과 현실원래 계획은 애플 홈킷을 최종 모니터링 툴로 사용하는 것이었고, 이전에 두 가지 안(1안, 2안)을 고민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그 계획에서 많이 변경되었다. 애플 홈은 자동화 구문 짜기가 너무 어려워 단기간에 원하는 바를 이루기 어려웠다. 그래서 2안을 선택해 진행했지만, 홈킷의 인터페이스와 스마트싱스의 인터페이스를 비교해본 결과, 나에게는 스마트싱스가 더 잘 맞았다. 스마트싱스는 실사용 모니터링 측면에서 더 편리했고, 시인성도 뛰어났다. 그래서 현재는 2안에서 홈브릿지와 애플 홈은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상태다. 지난 글: 홈구조도 고민하기 2. 애플 홈을 안 쓰게 되는 이유자동화 측면에서는 굳이 애플 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마트싱스에서 자동화 기능을 설정해두면 된다. 시스템이 작동된 ..

[스마트홈 구축기 11] 홈브릿지에 Smartthings 플러그인 설치 후 홈킷 연동하기

- 아래 내용들은 IOT 관련 네이버 카페에서 찾아보고 직접 실행해 본 내용들을 기록하였음 총 3단계로 진행을 한다. 먼저 스마트싱스 어플에 로그인할 계정을 삼성 계정 사이트(https://account.smartthings.com)에서 생성한 후 액세스 토큰이란 것을 생성한다. 그러고 나서 스마트싱스 플러그인 설치한 후 기입해야 할 액세스 토큰 입력칸에 앞에서 생성해 준 액세스 토큰을 복사 붙여 넣기 해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홈킷에서 엑세세리 추가를 통해 스마트싱스 브릿지를 연동해 주면 끝이다. 1. 삼성 계정 가입 및 스마트싱스 액세스 토큰 추출 삼성 계정 가입 후 다음 사이트(https://account.smartthings.com/tokens)에 접속해서 '새 토큰 만들기'를 눌러 토큰을 만들어 ..

[스마트홈 구축기 9] 맥OS에 홈브릿지(Homebridge) 설치 및 계정 로그인하기

참고 문헌(23년 8월 23일 기준, GitHub.com : mac os에 homebridge 설치하기) 총 두 단계를 거쳐 맥에 홈브릿지를 설치하게 된다. 1단계: Node.js 설치먼저, Node.js를 맥에 설치해야 한다. 아래 링크에서 Node.js 버전 16.16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이 버전으로 홈브릿지 UI 및 스마트싱스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 버전 18.xx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 (업데이트 방법은 추후에 다시 정리할 예정이다.)   - 파일 링크(버전 16.16) : https://nodejs.org/dist/v16.16.0/node-v16.16.0.pkg  2단계: 터미널 명령어를 통해 홈브릿지 및 UI 설치 맥에서 터미널을 실행한 후,..

[스마트홈 구축기 8] 홈브릿지(Homebridge) 운용할 가정용 서버 설치하기

1. 12년도부터 사용하고 있던 맥미니를 IoT 서버용으로 쓰기로 결정했다.결론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시놀로지 나스로 교체하는 대신, 오랫동안 타임캡슐 백업 서버, 미디어 보관 및 에어비디오 서버용으로 사용해 오던 2012년형 맥미니에 홈브릿지를 설치해서 IoT 서버로 사용해 보기로 했다. 원래 서버 장비를 가지고 있었는데도 교체를 고민했던 이유는 두 가지가 있었다. 첫 번째는 간헐적으로 VNC나 Remote Desktop 어플로 맥미니에 접속할 때 접속이 되지 않는 문제, 두 번째는 OS 보안 업데이트 후 자동 재부팅 시 전원이 꺼졌다가 다시 켜질 때 화면이 돌아오지 않는 문제 때문이었다. 불편하지만, 매번 파워 버튼을 눌러 재부팅해서 원상 복구를 시켜왔다.  2. 시놀로지 나스와 비교했을 때..

[스마트홈 구축기 7] IOT 허브 / End device 배치해보기

현재 각 방에 설치된 랜포트와 메쉬 공유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해놓은 상태이고, 이제 IoT 통신에 사용할 지그비(Zigbee)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로 넘어갈 시점이다. 지그비 네트워크는 주로 센서, 전동 커튼, 도어락 등의 IoT 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허브 위치를 신중하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효과적인 지그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몇 가지 팁이다: 1. IoT 디바이스 목록 및 위치 파악  • 집 안에 설치할 모든 IoT 디바이스(센서, 전동 커튼, 도어락 등)의 목록을 작성하고, 각 디바이스를 설치할 위치를 계획한다. • 각 디바이스의 위치를 고려하여 수신율이 좋은 허브 위치를 선정한다. 2. 지그비 허브 위치 선정  • 중앙 배치: 허브는 가능한 한..

[스마트홈 구축기 6] 홈 IOT 구조도 고민하기

홈 IoT 모니터링의 최종 툴로 애플 홈킷을 사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엔드 디바이스는 홈킷을 지원하는 아카라와 휴 플랫폼의 제품을 사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필요한 솔루션이 아카라와 휴에 없는 경우에는 홈킷을 지원하는 다른 플랫폼의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싱스 지원 제품만 사용하기로 했다. 그런 다음, 이 스마트싱스 지원 디바이스들을 홈브릿지와 연결하여 애플 홈킷에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이런 선택을 한 이유는, 플랫폼이 달라질 때마다 허브를 설치하는 것이 번거롭고, 스마트싱스 플랫폼의 경우 적절한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홈브릿지를 통해 애플 홈킷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단점은 아카라 제품과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제품 간의 자동화 연동이 필요한 경우, 애플 홈킷 단계에서 자동..

[스마트홈 구축기 5] 거실에 공용 프린터 무선 설정하기(삼성 프린터 SL-C565W)

스마트홈과는 무관할 수 있지만, 추후 다시 세팅해야 할 경우를 대비해 삽질 이력을 기록해 둔다. Linksys 공유기 앱에서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이용해 프린터 무선 설정을 할 때, 앱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Wi-Fi를 2.4 GHz용 SSID로 변경한 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처음에는 무심코 평소에 사용하던 5 GHz 신호를 잡고 계속 WPS 연결을 시도했지만, 계속 연결이 안 되어 한참을 헤맸다. 그러다 문득 IoT 전용으로 2.4 GHz 신호를 SSID로 분리해 놓은 것이 떠올라, 2.4 GHz로 변경하고 시도하니 바로 한 번에 무선 연결이 완료되었다. 2023.08.08 - [스마트홈 구축기] - Linksys velop 공유기에서 IOT 전용 2.4Ghz SSID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