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마트 홈 구축기 8

[스마트홈 구축기 44] 재실 센서 교체 후기(아카라 FP1 -> Everything Presence One)

우리 집 스마트 홈 자동화의 핵심 장치인 재실 센서를 최근에 아카라 제품에서 IOT 유튜버가 개발한 DIY 재실 센서로 교체한 후기를 적어보려고 한다. 잠깐 재실 센서에 관해 적어보면 주로 mmWave 센서를 탑재해서 사용하는데, 이는 군사에서 사용하는 레이더 기술과 동일한 원리를 따른다. 고주파를 방출해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반면에 동작 감지 센서에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를 사용하는데, 이는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두 센서의 차이점을 보면, 동작 감지 센서는 초기 감지가 빠르지만, 사람이 가만히 있거나 움직임이 적은 경우에는 감지하지 못한다. 반면, 재실 센서는 동작 감지로 주로 쓰이는 PIR 센서에..

[스마트홈 구축기 43] 유니파이 POE 스위치 추가하여 홈네트워크 구조도 변경한 결과

UDM SE, USW Lite 16 POE, 그리고 U6 Pro를 시작으로 유니파이의 매력(정확히는 POE 장비의 편리함)에 빠져들기 시작하면서, 집에 하나둘씩 유니파이 장비가 추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간헐적으로 연결 끊김이 발생하던 현관의 아카라 G4 초인종을 유니파이 G4 도어벨 POE로 교체했다. 또한, 현관 택배 모니터링용으로 사용하던 아카라 G3 카메라도 유니파이 G4 Pro로 교체했다. 유니파이 G4 도어벨 POE로 현관 초인종 교체하기 유니파이 도어벨 G4)" data-ke-align="alignCenter" data-og-description="도어벨 교체한 이력을 총 3편으로 나눠서 기록함. (하드웨어 설치하기 편, Home assistant에 연동하기 편, 애플 홈에 보안카메라로 설정하..

[스마트홈 구축기 38] 고객 센터를 통해 원격으로 Awair 공기질 센서 TVOCs 값 보정한 결과

온도에 따른 보일러와 에어컨 자동화, 습도에 따른 화장실 환풍기 자동화, 공기질에 따른 공기청정기 및 전열 교환기 자동화를 위해 정교한 온습도계와 공기질 모니터링이 필요했다. 이때 구입한 것이 Awair 공기질 센서였다. 거실과 방 3곳에 각각 두고 사용할 목적으로 총 4대의 Awair Element 기기를 구매했고, 센서의 정확도가 궁금해 구입 직후 같은 위치에 두고 수치를 비교해 보았다. 비교 결과 온도, 습도는 기존 온습도계와 거의 일치했고 이산화탄소 수치 포함해서 4대 기기 모두 편차도 거의 없었다. 그런데 1대의 기기에서만 나머지 3대와 비교해 TVOCs(휘발성 화학물질) 수치가 2~3배 이상 차이가 났다. Awair 앱의 사용 매뉴얼에 따르면, 센서 보정이 필요한 경우로 몇 가지 상황이 안내..

[스마트홈 구축기 37] 스마트홈 구축 비용 현재까지 정산 결과

33평 아파트에 스마트 홈을 구축한 후, 지금까지 지출한 비용을 정리해 보았다. 순전히 개인이 공부하면서 얻은 지식으로 구축한 결과물이고 그 안에는 많은 삽질과 중복 투자 건도 많다. 스마트홈 구축기 1편을 작성한 것이 작년 7월 30일이었으니, 현재 약 1년이 지난 시점이다. 지금까지의 구축 현황은 내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대부분의 자동화를 완료한 상태이며, 그 자동화 시스템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있다. 또한, Home Assistant(HA) 시스템 로그를 수시로 점검하며 버그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챗지피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당장은 IOT 기기를 더 추가할 계획은 없다 보니 이 시점에서 한번 현재까지 투자 비용을 정산해 보았다. 구매 물품금액지그비 기기 115개 ..

[스마트홈 구축기 36] 링크시스 MX5300 사용 후기 및 유비쿼티사의 Unifi 시스템으로 교체한 후기

링크시스 MX5300 두대 사용 후기와이파이 기기가 50대가 넘다 보니 주말에 게임하거나 유튜브 볼 때 와이파이가 자주 끊긴다는 가족들의 불만이 몇 번 있었다. 와이파이가 갑자기 끊기면 SSID 눌러서 다시 접속해도 오류가 나면서 계속 연결이 안 된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거나 공유기를 재부팅해야 그제야 와이파이 접속이 되는 상황이었다. 처음에 홈 네트워크 구성을 할 때 이런 상황을 예상 못한 건 아니다. 스마트싱스 삼성 가전제품들이랑 가족들 모바일 기기를 포함해서 집안에 와이파이 기기가 처음부터 많았고, IoT 기기를 계속 추가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와이파이 끊김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었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보통 이런 끊김 현상은 메인 공유기의 메모리(RAM) 크기가 충분하지 ..

[스마트홈 구축기 35] 라우터로 쓰고 있는 Sonoff Dongle-E를 Z2M, ZHA에 다시 페어링하기

현재 코디네이터로 사용하던 Sonoff Dongle에 라우터 펌웨어를 올린 후, Zigbee 신호 확장을 목적으로 잘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 플러그를 라우터로 사용하는 것보다 성능이 좋았다.) 이번에 코디네이터를 변경하면서 Zigbee 네트워크를 처음부터 다시 구축하게 되었고, 모든 기기를 다시 페어링하는 과정에서 이 Sonoff Dongle을 어떻게 페어링해야 하는지 찾아본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준비물  • 라우터 펌웨어가 설치된 Sonoff Dongle • 미세 십자드라이버 (나사를 풀기 위해 필요) • Dongle에 전원을 공급해 줄 컴퓨터나 USB 전원 어댑터   [스마트홈 구축기 33] home assistant Z2M에서 ZHA로 이사 과정, 그리고 Sonoff Zigbee USB dong..

[스마트홈 구축기 26] Sonoff Zigbee dongle로 지그비 네트워크 확장하기(Router firmware 올리기)

스마트싱스에서 Home Assistant로 플랫폼을 변경하면서 지그비 네트워크의 신뢰성이 확실히 좋아졌지만, 화장실이나 세탁실 같은 곳에서는 간헐적으로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로 뜨거나 연결 신호가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 신호 리피팅을 위해 스마트 플러그를 여러 곳에 배치했지만, 특히 화장실은 구조상 기기를 천장 위에 배치해야 했기 때문에 신호 강도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았다. 그래서, 보통 코디네이터로 많이 사용하는 Sonoff Zigbee Dongle-P에 라우터 펌웨어를 올려서 라우터로 사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신호 범위를 확장하고, 지그비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했다.  SONOFF Zigbee 3.0 USB Dongle Plus-P - SONOFF OfficialZigbee 3..

[스마트홈 구축기 24] Home assistant에서 코맥스(commax) wallpad 제어하기 후속

※ 총 4편(하드웨어 설치 / 애드온 설치 / 조명과 팬 제어 / 보일러 제어) 중 보일러 제어 편임 우리 집은 코맥스 월패드를 사용하는 아파트로, 현재 일부 월패드 기기는 브릿지 허브로, 나머지는 HA의 Wallpad Add-on을 통해 제어하고 있었다. HA에 Wallpad Add-on을 설치한 후 실제로 동작시켜보니, 다른 디바이스는 제어에 문제가 없었지만, 보일러에서 off 명령을 내릴 때 월패드가 지속적으로 멈추는 현상이 발생했다. 그래서 조명과 엘리베이터 부분만 HA로 제어하고, 문제가 생긴 보일러와 수정하지 못한 전열 시스템(환풍기)은 일단 브릿지 허브로 계속 제어하기로 했었다. 최근에 시간이 남아서 이 부분을 좀 더 공부해 보니 문제점을 알 수 있었고, 보일러와 전열 시스템 모두 HA와 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