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ot 19

[스마트홈 구축기 9] 맥OS에 홈브릿지(Homebridge) 설치 및 계정 로그인하기

참고 문헌(23년 8월 23일 기준, GitHub.com : mac os에 homebridge 설치하기) 총 두 단계를 거쳐 맥에 홈브릿지를 설치하게 된다. 1단계: Node.js 설치먼저, Node.js를 맥에 설치해야 한다. 아래 링크에서 Node.js 버전 16.16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이 버전으로 홈브릿지 UI 및 스마트싱스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 버전 18.xx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 (업데이트 방법은 추후에 다시 정리할 예정이다.)   - 파일 링크(버전 16.16) : https://nodejs.org/dist/v16.16.0/node-v16.16.0.pkg  2단계: 터미널 명령어를 통해 홈브릿지 및 UI 설치 맥에서 터미널을 실행한 후,..

[스마트홈 구축기 8] 홈브릿지(Homebridge) 운용할 가정용 서버 설치하기

1. 12년도부터 사용하고 있던 맥미니를 IoT 서버용으로 쓰기로 결정했다.결론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시놀로지 나스로 교체하는 대신, 오랫동안 타임캡슐 백업 서버, 미디어 보관 및 에어비디오 서버용으로 사용해 오던 2012년형 맥미니에 홈브릿지를 설치해서 IoT 서버로 사용해 보기로 했다. 원래 서버 장비를 가지고 있었는데도 교체를 고민했던 이유는 두 가지가 있었다. 첫 번째는 간헐적으로 VNC나 Remote Desktop 어플로 맥미니에 접속할 때 접속이 되지 않는 문제, 두 번째는 OS 보안 업데이트 후 자동 재부팅 시 전원이 꺼졌다가 다시 켜질 때 화면이 돌아오지 않는 문제 때문이었다. 불편하지만, 매번 파워 버튼을 눌러 재부팅해서 원상 복구를 시켜왔다.  2. 시놀로지 나스와 비교했을 때..

[스마트홈 구축기 7] IOT 허브 / End device 배치해보기

현재 각 방에 설치된 랜포트와 메쉬 공유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해놓은 상태이고, 이제 IoT 통신에 사용할 지그비(Zigbee)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로 넘어갈 시점이다. 지그비 네트워크는 주로 센서, 전동 커튼, 도어락 등의 IoT 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허브 위치를 신중하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효과적인 지그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몇 가지 팁이다: 1. IoT 디바이스 목록 및 위치 파악  • 집 안에 설치할 모든 IoT 디바이스(센서, 전동 커튼, 도어락 등)의 목록을 작성하고, 각 디바이스를 설치할 위치를 계획한다. • 각 디바이스의 위치를 고려하여 수신율이 좋은 허브 위치를 선정한다. 2. 지그비 허브 위치 선정  • 중앙 배치: 허브는 가능한 한..

[스마트홈 구축기 6] 홈 IOT 구조도 고민하기

홈 IoT 모니터링의 최종 툴로 애플 홈킷을 사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엔드 디바이스는 홈킷을 지원하는 아카라와 휴 플랫폼의 제품을 사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필요한 솔루션이 아카라와 휴에 없는 경우에는 홈킷을 지원하는 다른 플랫폼의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싱스 지원 제품만 사용하기로 했다. 그런 다음, 이 스마트싱스 지원 디바이스들을 홈브릿지와 연결하여 애플 홈킷에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이런 선택을 한 이유는, 플랫폼이 달라질 때마다 허브를 설치하는 것이 번거롭고, 스마트싱스 플랫폼의 경우 적절한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홈브릿지를 통해 애플 홈킷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단점은 아카라 제품과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제품 간의 자동화 연동이 필요한 경우, 애플 홈킷 단계에서 자동..

[스마트홈 구축기 5] 거실에 공용 프린터 무선 설정하기(삼성 프린터 SL-C565W)

스마트홈과는 무관할 수 있지만, 추후 다시 세팅해야 할 경우를 대비해 삽질 이력을 기록해 둔다. Linksys 공유기 앱에서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이용해 프린터 무선 설정을 할 때, 앱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Wi-Fi를 2.4 GHz용 SSID로 변경한 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처음에는 무심코 평소에 사용하던 5 GHz 신호를 잡고 계속 WPS 연결을 시도했지만, 계속 연결이 안 되어 한참을 헤맸다. 그러다 문득 IoT 전용으로 2.4 GHz 신호를 SSID로 분리해 놓은 것이 떠올라, 2.4 GHz로 변경하고 시도하니 바로 한 번에 무선 연결이 완료되었다. 2023.08.08 - [스마트홈 구축기] - Linksys velop 공유기에서 IOT 전용 2.4Ghz SSID ..

[스마트홈 구축기 4] Static IP 설정하기

앞으로 홈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기기가 많아질 것을 고려해, 특정 규칙에 따라 각 기기마다 Static IP를 지정하려고 한다. 우리 집의 경우, 메인 공유기 아래 연결된 모든 기기들은 192.168.1.xxx로 시작하는 IP를 가지며,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는 192.168.1.1부터 192.168.1.254까지로 총 254개다. 이를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IP를 분배하려고 한다.  • 거실에 설치된 메인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192.168.1.1로 설정했다. • 메인 공유기의 LAN으로 각 방에 설치된 2대의 공유기들은 각각 192.168.1.2와 192.168.1.3으로 할당했다. • 애플 홈허브, 홈팟, M2 아카라 홈허브 같은 IoT 허브들은 192.168.1.5부터 192.168.1.15까..

[스마트홈 구축기 3] Linksys velop 공유기에서 IOT 전용 2.4Ghz SSID 분리

Linksys Velop MX4200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2.4 GHz와 5 GHz WiFi의 SSID가 단일 SSID로 묶여 있다. 그래서 스마트폰처럼 통신 속도가 빠른 디바이스들은 평소에 5 GHz 영역의 WiFi를 사용하다가, 신호가 약한 음영지역으로 들어가면 2.4 GHz WiFi 신호를 잡는다. 우리 집의 경우 MX4200 공유기 3대로 WiFi 신호를 충분히 커버해놓은 상태라, 옮겨 다니며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은 음영지역에 대한 걱정이 없어 2.4 GHz 영역대가 필요 없는 상태다. 그래서 IoT 디바이스들이 사용하는 WiFi는 2.4 GHz 영역대이기 때문에, 단일 SSID로 묶여 있는 현재 구성에서 2.4 GHz만 IoT 전용 WiFi SSID로 분리하려고 한다. 인터넷 사파리 주소창에 19..

[스마트홈 구축기 2] 홈 네트워크 구성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거실의 메인 공유기 아래 모든 공유기와 IoT 허브를 연결해 하나의 홈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1. 통신 단자함에서 거실 벽단자 인터넷 포트와 연결된 선을 찾아 통신사 모뎀의 인터넷 포트에 연결했다. 2. 거실에서 벽단자 인터넷 포트를 찾아 메인 공유기의 WAN 포트와 통신선으로 연결했다. 3. 우리 집은 벽단자 인터넷 포트 옆에 전화 포트도 있어서, 이 전화 포트와 메인 공유기의 LAN 포트를 연결했다. 4. 다시 통신 단자함으로 가서, 거실 벽단자 전화 포트와 연결된 선을 찾아 단자함의 스위치 허브에 연결했다. 5. 각 방의 벽단자 인터넷 및 전화 포트를 모두 이 스위치 허브에 연결했다. 6. 침실 1로 가서 서브 공유기를 배치하고, 벽단자 인터넷 포트와 서브 공유기의 LAN 포..

[스마트홈 구축기 1] 메쉬 와이파이 공유기 구매(Linksys velop mx4200 3대)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평소에 눈여겨보던 메쉬 와이파이 공유기를 구매했다. Linksys사의 Velop MX4200이라는 기기고, 총 3대를 구입했다. 대당 20만 원 정도 해서 총 60만 원이 들었다. 34평 아파트에 설치해보니 2대로도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다. 1대로도 가능했지만, 벽을 2개 이상 거치는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에서는 5 GHz 신호 기준으로 음영지역이 생긴다. 결론적으로 1대의 성능이 좋아서 3대까지는 오버스펙이다.  공유기를 선택하는 데 적용했던 기준은 다음 3가지다.  1. 애플 홈킷에 통합 가능한 공유기 2. 깔끔한 디자인 3. WiFi6 메쉬 와이파이 공유기 1번 기준은 애플 홈킷을 통해 스마트홈을 최종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목표라서 설정했다. 몇 년 전에 애플에서 발표한 애플 홈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