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 구축기

[스마트홈 구축기 15] Home Assistant Yellow 구입 및 기기 구성

시들지 않는 무지개 2023. 10. 28. 00:19
728x90

지난 9월초에 기기 구성 및 주문을 했던 기록임.

 

home assistant yellow. <출처: crowd supply>

 

Home Assistant(이하 HA)를 공부하기로 한 이상, 처음에는 레퍼런스 기기인 Home Assistant Yellow로 시작하기로 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옵션별 사양을 확인한 후 바로 주문을 진행했다. 결론적으로는 미국 사이트인 Crowd Supply에서 라즈베리파이 4 CM4(computing module)가 없는 POE 지원 구성을 주문했으며, 알리에서 라즈베리파이 CM4 메모리 8GB 모듈을, 다나와에서 SSD 256G를 추가로 주문했다. 총 비용은 약 50~60만원으로, 보통 카페에서 추천하는 NUC 구성에 비해 가격이나 성능 면에서 가성비가 매우 떨어지는 조합이다. 그러나 HA 진입 장벽이 높아 포기하기 쉬운 상황에서 HA OS 관련 이슈가 아닌 기기 호환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참고 문서가 많은 라즈베리파이를 선택하고, Home Assistant 팀이 제작한 레퍼런스 기기를 구입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 2개월 정도 사용해본 결과, 레퍼런스 기기의 장점은 라즈베리파이 4B 구성 대비 지그비 코디네이터나 SSD 연결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는 점 외에는 크게 없었다. 대신 디자인은 깔끔했다.

 

공식적으로 HA를 돌리기 위한 최소 메모리 사양은 RAM 2GB이다. 실제로 OS 설치와 MQTT broker, Z2M, File Editor, 스마트싱스 통합구성 요소 등 필수적인 것들을 설치해 보니 메모리 0.8GB를 기본적으로 차지했다. 그래서 넉넉하게 사용하려면 4GB는 필요하고, 8GB는 다소 오버 스펙이었던 것 같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소 추천 사양

 

구매 사이트: https://www.crowdsupply.com/nabu-casa/home-assistant-yellow

현재 판매 중인 3가지 옵션의 Yellow 기기 구성. 나는 가장 우측의 POE 버전을 구입 했다.

 

구매 사이트에서는 3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2GB 메모리의 라즈베리파이 CM4 모듈이 기본 장착된 ‘Standard’ 버전이다. 두 번째는 CM4 모듈이 빠진 ‘Kit with Power Supply’ 버전이며, 마지막으로 CM4 모듈이 빠졌지만 POE를 지원하는 ‘Kit with Power-over-Ethernet’ 버전이 있다. 이 중에서 CM4 모듈을 2GB 이상으로 구성하거나 POE 구성을 원하는 경우에는 해당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POE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옵션들은 모두 전원 케이블 및 플러그가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도 돼지코 없이 EU type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SD도 함께 판매되지만, 다나와에서 구매하는 것에 비해 훨씬 비쌌다. 세 가지 옵션의 가격은 순서대로 187달러, 124달러, 135달러이며, ‘Standard’ 옵션의 경우 관세를 포함하면 약 28만원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라즈베리파이 4B Yellow 옵션1 Yellow 옵션2 Yellow 옵션3
연산 모듈(메모리) 2GB(기준) 2GB 별도 구매 별도 구매
가격 8만원 187달러(25만원) 124달러(17만원) 135달러를 (18만원)
지그비 코디네이터 별도 구매 내장 내장 내장
SSD 인터페이스 USB 변환 연결 NVMe M.2 SSD 지원 NVMe M.2 SSD 지원 NVMe M.2 SSD 지원
전원   DC 12V 3A DC 12V 3A POE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