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편(하드웨어 설치 / 애드온 설치 / 조명과 팬 제어 / 보일러 제어) 중 하드웨어 연결 편임
최근 메인 플랫폼을 ST(SmartThings)에서 HA(Home Assistant)로 이사했으며, 현재 여건상 ST에 남아 있는 기기들은 wallpad와 연결된 디바이스들뿐이다. 각 방의 조명, 보일러, 콘센트, 엘리베이터, 그리고 전열 시스템 등이 이에 해당되며, 이 기기들은 브릿지허브를 통해 ST에 연결된 상태이다.
코맥스 월패드에 브릿지 허브 설치하기
[스마트홈 구축기 13] commax(코맥스) 월패드에 브릿지허브(BritzyHub) 설치하기
우리 아파트는 스마트싱스 어플에서 서비스 연결로 홈 IOT 기능을 쓸 수 있는 스마트아파트이다. 그래서 간단한 설정만으로 스마트싱스에 연결을 하게 되면 월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원격 기
wendysm.tistory.com
Wallpad 연동 조명과 보일러를 HA 자동화에 통합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공부했다. 첫 번째 방법은 현재 설치된 브릿지허브를 통해 ST를 거쳐 HA에서 스마트싱스 통합구성요소를 설치하여 통합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버튼 몇 번 클릭으로 쉽게 실행할 수 있지만, 브릿지허브-ST 간 연결뿐만 아니라 ST-HA 간 연결 모두 클라우드 방식이다 보니, 브릿지허브 서버나 ST 서버 중 하나라도 서비스 오류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다. 최근 ST와 브릿지허브 서버 오류들이 종종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점이 단점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 방법은 “Wallpad Controller with RS485”라는 HA의 애드온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브릿지허브의 역할을 HA 애드온에서 직접 수행하기 때문에 모든 것이 로컬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전기 공급이 유지되는 한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어 속도도 더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애드온 설치, 월패드 제조사의 패킷 정보 확인, 그리고 코드 최적화를 직접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공부와 노력이 필요하다.
시스템 안정성을 우선하기로 하여, 어려움이 있더라도 두 번째 방법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하고 계획을 수립했다. 먼저, 가정 내 RS485 통신 포트를 HA 기기에 직결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HA 기기를 공유기와 연결할 수 있는 랜포트가 있는 장소를 찾아야 했다.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무선보다는 유선 연결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다행히 주방 후드 위의 자동소화장치에 RS485 포트가 있었고, 인접한 싱크대 벽면에 랜포트가 있어, HA 기기를 후드 위에 두고 랜선을 후드 장 뒤로 빼서 HA를 랜포트와 연결할 수 있었다. 랜선을 후드 장 뒤로 빼는 과정이 조금 힘들었지만, 요비선을 사용해 작업을 완료했다. 기존에 연결된 RS485 포트는 Y형 커플러를 추가해 HA 기기와도 연결시켰다.
![](https://blog.kakaocdn.net/dn/Fd8xk/btsABCbm9tJ/5cy1kXkIgvMhHr3eFsmG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eWKPI/btsACl8usgy/sg97S33soXkrFrhxoWq3Ik/img.jpg)
827.0₩ 20% OFF|USB to RS485 485 변환기 어댑터, Win7 XP Vista Linux Mac OS WinCE5.0 지원|반도체 집적회로| - Al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칼론 랜선 Y형 연장 랜커플러
COUPANG
www.coupang.com
![](https://blog.kakaocdn.net/dn/bLgR1T/btsAuJcwY2S/a6YDKgaAkBOmb1lb3xlyO1/img.png)
정리하자면, 이전에는 월패드 내부에 브릿지허브를 설치해 RS485 통신을 감청 및 제어했지만, 지금은 주방 후드 위 자동 소화장치의 RS485 포트에 Y형 커플러를 추가하여 HA 기기를 연결해 RS485 통신을 감청 및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HA 기기는 유선 랜으로 홈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어, 기존의 클라우드 및 Wi-Fi 연결 방식의 브릿지 허브보다 훨씬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써 Wallpad 연동 기기를 HA에 통합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이제 남은 것은 HA에 Wallpad 애드온을 설치해 소프트웨어 설정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
두번 째 이야기- 애드온 설치 : https://wendysm.tistory.com/79
[스마트홈 구축기 20] Home Assistant에 wallpad Addon(wallpad controller with RS485) 설치
※ '모두의 스마트홈' 네이버 카페에서 보고 읽은 내용들을 참고함. 총 3단계로 진행이 필요한데 첫 번째는 MQTT broker를 설치해야 하고 두 번째는 자기 집의 월패드 제조사에 맞는 addon을 설치하고
wendysm.tistory.com
세번 째 이야기- 조명 및 팬 연동 관련 js file 수정 : https://wendysm.tistory.com/79
[스마트홈 구축기 20] Home Assistant에 wallpad Addon(wallpad controller with RS485) 설치
※ '모두의 스마트홈' 네이버 카페에서 보고 읽은 내용들을 참고함. 총 3단계로 진행이 필요한데 첫 번째는 MQTT broker를 설치해야 하고 두 번째는 자기 집의 월패드 제조사에 맞는 addon을 설치하고
wendysm.tistory.com
네번 째 이야기- 보일러 연동 관련 js file 수정 : https://wendysm.tistory.com/83
[스마트홈 구축기 24] Home assistant에서 코맥스(commax) wallpad 제어하기 후속
wallpad add-on 설치 후 기존 상황 [스마트홈 구축기 21] Home Assistant Wall pad add-on에서 기기 구성하기(최종)현재까지 상황을 간단히 정리해 보면, 주방 후드장 위에 HA 기기를 배치해서 자동소방장치의 R
wendysm.tistory.com
'스마트홈 구축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홈 구축기 21] Home Assistant 코맥스(commax) Wall pad add-on에서 기기 구성하기 (3) | 2023.12.03 |
---|---|
[스마트홈 구축기 20] Home Assistant에 wallpad Addon(wallpad controller with RS485) 설치 (3) | 2023.11.26 |
[스마트홈 구축기 18] Smartthings에서 Home Assistant로 이사하기 (1) | 2023.11.18 |
[스마트홈 구축기 17] Home Assistant(HA)에 Zigbee2MQTT(Z2M) 설치하기 (1) | 2023.11.18 |
[스마트홈 구축기 16] Home Assistant(HA) 설치 후 고급 모드 설정하기 (0) | 2023.11.18 |